정부와 지자체는 다양한 소비쿠폰을 발행하고 있으며, 쿠폰 종류에 따라 사용처도 달라집니다.
아래는 대표적인 소비쿠폰별 사용처 목록입니다.
1. ✅ 온누리상품권
-
사용처: 전국 전통시장, 상점가, 소상공인 가맹점
-
주요 예시:
-
서울 남대문시장, 광장시장
-
부산 국제시장, 자갈치시장
-
대구 서문시장, 칠성시장
-
-
구매 방식: 종이형(농협, 우체국), 모바일형(제로페이 앱)
-
사용 팁: 모바일형은 사용처 검색 가능
2. ✅ 지역사랑상품권 (지역화폐)
-
사용처: 해당 시/군/구 내 등록된 지역 소상공인 가맹점
-
지역 예시:
-
경기지역화폐 → 경기 도내 모든 시/군 편의점, 음식점, 미용실 등
-
서울사랑상품권 → 자치구별 지정 가맹점
-
강원상품권 → 강원특별자치도 내 가맹 상점
-
-
주요 업종: 음식점, 편의점, 카페, 학원, 병원, 미용실, 세탁소 등
-
불가 업종: 유흥, 대형마트, 사행성 업종 등
-
사용 팁: 지역 내 주민만 발급 가능
-
사용처 검색: 각 지역화폐 앱 (예: 경기지역화폐 앱)
3. ✅ 농축수산물 할인쿠폰
-
사용처:
-
온라인 쇼핑몰: 쿠팡, 11번가, 마켓컬리, SSG.COM, 이마트몰 등
-
오프라인 매장: 하나로마트, 이마트, 홈플러스, 롯데마트 일부 매장
-
-
적용 품목: 쌀, 돼지고기, 소고기, 닭고기, 계란, 제철 과일, 수산물 등
-
할인율: 보통 10~20% / 1일 최대 할인 한도 존재
-
사용 팁: 쿠폰은 해당 쇼핑몰 내 발급받아 적용
-
검색 사이트: https://www.krepi.or.kr
4. ✅ 외식 할인쿠폰
-
사용처: 외식쿠폰 제휴 음식점 (카드사 제휴)
-
제휴 카드사: KB국민, 신한, NH농협, 우리, 하나, 현대 등
-
사용 방식:
-
제휴 음식점 3회 이상 사용 시 1만 원 캐시백
-
자동참여형 or 사전응모형
-
-
음식점 예시: 프랜차이즈 및 일반 가맹 음식점 (매번 달라짐)
-
확인 방법: 각 카드사 홈페이지 or 고용노동부 홈페이지
5. ✅ 디지털·문화·여행 쿠폰 (기간제 한정)
-
디지털배움 쿠폰: 온라인 강의 사이트 (인프런, 클래스101 등)
-
문화누리카드: 영화관, 공연장, 서점, 온라인 콘텐츠 플랫폼
-
숙박할인 쿠폰: 여기어때, 야놀자, 호텔엔조이 등 제휴 숙소
-
사용 기간: 정부 캠페인 기간에 한정 발급됨
📌 사용처별 요약 표
쿠폰 종류 | 사용처 요약 | 주요 예시 |
---|---|---|
온누리상품권 | 전통시장, 소상공인 | 남대문시장, 자갈치시장 등 |
지역사랑상품권 | 지역 가맹점 (음식점, 미용실 등) | 경기·서울·강원 상품권 앱 사용 |
농축수산물 쿠폰 | 온라인몰, 대형마트 | 쿠팡, 하나로마트, 이마트 |
외식 할인쿠폰 | 제휴 음식점 | 카드사별 제휴 식당 |
문화/숙박 쿠폰 | 영화관, 여행앱, 온라인 강의 등 | 야놀자, 메가박스 등 |
✅ 주의사항
-
대부분의 소비쿠폰은 유효기간이 짧고 예산 소진 시 조기 종료됨
-
카드사 제휴형 쿠폰은 사전 응모 필수인 경우 많음
-
사용처는 정기적으로 변경되므로 반드시 사용 전 확인 필요
-
일부 쿠폰은 지역 제한, 업종 제한이 있습니다
✅ 함께 참고할 사이트
-
온누리상품권 사용처 검색: https://www.sbiz.or.kr/sijangtong
-
농축수산물쿠폰 안내: https://www.krepi.or.kr
-
카드사 쿠폰 이벤트: 각 카드사 앱
-
지역화폐: 경기지역화폐, 서울페이+, 강원상품권 앱